블로그 생활백서/지식백서

🏡 땅 살 때 내야 하는 세금, 뭐가 있을까?

jin347 2025. 4. 13. 12:00
반응형

 

“남편이랑 땅 좀 사볼까?”
“전원주택 짓고 싶어서 땅 알아보는 중이에요.”
“투자용으로 괜찮은가 봐요.”

이런 생각, 요즘 많이 하시죠?
그런데… 막상 부동산 계약 앞에 서면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바로 **“세금”**입니다.

✔ 땅 살 때 세금 얼마나 낼까?
✔ 사고 나서 또 내는 세금은 뭐지?
✔ 실수하면 나중에 세금 폭탄 맞는다는 얘기도 있던데?

걱정 마세요!
전업주부도 이해할 수 있게
땅 거래 시 필요한 세금만 쏙쏙 뽑아서 알려드릴게요 😊

 


 

✅ 땅 살 때 내는 주요 세금 3가지

 

① 취득세

  • 땅을 ‘취득’할 때 한 번 내는 세금
  • 보통 취득가액의 4.6% (지방세 포함)

예) 1억짜리 땅을 샀다면 → 약 460만 원의 취득세 발생

✅ 반드시 계약 후 60일 이내 납부해야 해요!
늦으면 가산세가 붙습니다 😱

 


 

② 농어촌특별세 (경우에 따라)

 

  • 일정 조건일 때만 추가로 내는 세금
  • 비사업용 토지일 경우 0.2% 추가

예) 내가 농사를 지으려고 산 땅이면 면제,
그냥 보유만 하는 땅이라면 해당될 수도 있어요.

 


 

③ 지방교육세

 

  • **취득세의 10%**로 자동 계산돼 같이 부과돼요
  • 위 예시라면 460만 원의 10% = 46만 원 추가

 


 

💡 ‘땅’은 면적보다 ‘용도’가 중요해요

 

세금은 단순히 넓이가 아니라,
그 땅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용도특징세율 영향
전·답 농사용 토지 비사업용일 경우 가산세 적용 가능
대지 주택, 상가 등 지을 수 있음 세금 무거울 수 있음
임야 산, 나무 있는 땅 관리 어려움, 세금은 상대적 낮음

👉 내가 어떤 용도의 땅을 사는지 꼭 확인하세요!

 


 

📌 추가로 나중에 내는 세금도 있어요

 

💬 1) 보유세 (매년)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 일정 기준 이상이면 과세됨

💬 2) 양도소득세 (팔 때)

  • 땅이 올랐을 때 팔면, 이익에 대해 세금 부과
  • 보유 기간 짧거나 비사업용이면 세금이 훨씬 많아짐

💡 땅을 투자용으로 사신다면,
장기보유 / 1세대 1토지 전략 고민해보세요

 


 

🔍 땅 사기 전에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1. 비사업용 토지인지 확인하기
    (취득세 + 농어촌특별세 + 양도세 불이익 가능)
  2. 취득세 시뮬레이션 돌려보기
    위택스에서 계산 가능
  3. 중개사무소 말만 믿지 말고, 지자체/국세청에 직접 확인

 


 

✨ 마무리 요약

 

세금 이름내는 시점세율 대략
취득세 땅 매입 시 약 4.6%
농어촌특별세 조건부 발생 0.2%
지방교육세 땅 매입 시 취득세의 10%
재산세 매년 7월 공시지가 기준
양도소득세 땅 매도 시 이익에 따라 달라짐

 


 

💬 한줄 조언

 

“땅을 사는 건 생각보다 간단하지만,
땅을 산 이후는 세금과의 싸움입니다.”

📌 계약 전, 세금부터 꼭 확인해보세요.
몰라서 내는 세금이 가장 아깝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