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생활백서/건강백서

마음이 아픈 자녀를 위해 –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지원제도 총정리!

jin347 2025. 4. 19. 21:00
반응형

 

“아이의 감정 기복이 심하고 우울해 보여요.”
“학교에 가기 싫다며 문을 닫고 울어요.”
“병원에 데려가야 할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아이의 심리 상태가 걱정되지만,
어떻게 도와야 할지 막막하셨던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1.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지원사업 (보건복지부)

 

✔️ 주요 내용

  • 불안, 우울, ADHD, 게임중독, 자해 등 정신·행동 문제 조기 발견
  • 심리검사, 전문상담, 병원 연계, 치료비 지원까지 단계별 제공

✔️ 대상

  • 만 18세 이하 아동·청소년
  • 부모, 학교, 기관의 의뢰 가능

✔️ 이용 방법

  1.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아동청소년 담당) 문의
  2. 초기 상담 및 평가
  3. 필요시 병원·기관 연계 및 치료비 지원

🏢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는 학교나 교육청과 협력해 운영되기도 합니다.

 


 

📊 2. 정신건강 무료 심리검사 및 상담 (교육청/지자체 연계)

 

  • 초·중·고 학생 대상 정기적인 심리검사 실시
  • 검사 후 위험군 판단 시 개별상담/병원 안내
  • 일부 지자체는 무료 심리상담권/바우처 제공

✔️ 자녀 학교나 거주지 교육청, 시청 홈페이지 확인

 


 

💳 3. 마음건강 바우처 – 청소년 대상 무료 상담 지원 (지자체별)

 

서울시, 경기도, 부산시 등은
중·고생 청소년에게 10회 내외 무료 심리상담 제공 중

  • 스트레스, 진로불안, 가족갈등 등 개인 맞춤 상담 가능
  • 참여 기관: 심리상담센터, 정신건강 클리닉 등
  • 일부 지자체는 비대면 상담도 운영

✅ 바우처 신청은 청소년 본인 또는 보호자 가능
✅ 신청 시기 확인은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이런 상황이라면 꼭 확인하세요!

 

  • 아이가 자주 울거나 짜증을 내고 예전 같지 않다
  • 등교 거부, 친구 관계 어려움 등 학교 생활에 문제가 있다
  • 게임이나 유튜브에 지나치게 몰입하거나 자기표현이 부족하다
  • 자해나 죽고 싶다는 표현을 한다

👉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정신과 진료 전, 심리상담부터 시작해도 됩니다.

 


 

✅ 오늘의 요약

 

제도명주요 내용신청처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지원사업 심리검사 + 상담 + 치료비 지원 정신건강복지센터
교육청/지자체 무료 상담 학교심리검사 + 상담연계 학교, 교육청
청소년 바우처 무료상담 10회 내외 지자체, 청소년상담센터
반응형